Ubuntu를 설치하는것 자체는 간단하다 그러나 설치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할 WSL 과 Ubuntu 설치후 업데이트 그리고 git 과 git의 관련 터미널 툴을 설치하려고 한다.
먼저 Ubuntu 를 설치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Ubuntu를 검색하여 설치한다.
Ubuntu 라는 리눅스를 무턱대고 설치하고 실행하려 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를 출력할 것이다.
WSL 은 Windows Sub system for Linux 의 약자로 리눅스를 위한 윈도우즈 하위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로 다른 가상머신(VM)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터미널 명령어로 간단하게 설치하는 경우 WSL을 설치한다.
VM Ware, Virtual Box 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어째서 WSL을 쓸까? 하는 의문에 검색하여 알아보니 VM Ware 와 같은 프로그램은 리눅스 운영체제를 통째로 설치하여 작동시키고 여러가지 설정을 직접 해야하는 반면에 WSL은 필요한 부분만, 즉 bash, ssh, git, 과 같은 Ubuntu의 터미널 부분만을 사용할 수 있게 가벼운 구성(경량화)으로 이루어져 있음과 설치가 간편하여 WSL을 쓴다고 한다. 실제로 아래의 스크린샷과 같이 명령 프롬프트 로 설치가 간편하다. 설치하려는 WSL의 버전은 WSL2 이다.
설치 후 재부팅 하면 자동으로 Ubuntu 가 설치된다. 그 후 계정을 생성하면 된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데 입력이 되지 않아 당황할 필요 없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겉으로 보기에는 입력이 안 돼 보일뿐 실제로는 잘 입력되고 있으니 무시하고 입력 후 enter 를 누르면 된다.
무사히 계정생성까지 완료했다면 업데이트와 깃을 설치해 보자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git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git --version 을 입력해본다.
명령어를 통해 git 버전이 제대로 출력된다면 이제는 git의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한다.
'Backend > Flask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미니터(Miniter) API 개발 (타임라인) (0) | 2022.01.10 |
---|---|
6. 미니터(Miniter) API 개발 (300자 제한 트윗 글 올리기) (0) | 2022.01.05 |
5. 미니터(Miniter) API 개발 (회원가입) (0) | 2022.01.03 |
3. 미니콘다 가상 환경 설치와 Flask 설치, ping 엔드 포인트 (0) | 2021.12.31 |
2. Git 관련 터미널 툴 설치(TIG, Diff So Fancy, ZSH, Oh My Zsh) 그리고 E325: ATTENTION 오류 대처 (0) | 202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