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구성
vscode 상의 터미널에서 gitbash 를 이용하여 굳이 github 홈페이지에 들어가지 않고도 간단하게 명령어 입력만으로도 쉽게 commit 하거나 push 할 수 있게된다.
먼저 git init 명령어 입력으로 버전 관리를 시작한다.
그 후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 Windows 운영체제와 Mac, Linux 운영체제는 서로 개행문자가 다르다 Windows는 라인 바꿈 문자로 CR(Carriage-Return)과 LF(Line Feed) 문자를 둘 다 사용하지만, Mac과 Linux는 LF 문자만 사용한다. 여기서 true는 LF 문자를 CRLF 문자로 변환해 줌으로써 운영체제의 차이. 즉 크로스 플랫폼 으로 생기는 협업시 문제를 해결해 준다. Windows 운영체제는 true를 Mac, Linux 운영체제는 input 명령어를 입력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하는 명령어이다.
git config --global user.email : 사용자의 이메일을 입력하는 명령어이다.
이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이 완료되었다.
git config --global --list 입력으로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git status 로 버전관리 상태를 확인 할 수 잇다.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ll 과 Clone 의 차이점 (0) | 2022.07.01 |
---|---|
Git 과 Github의 관계 그리고 add, commit, push 동작 과정 (0) | 2022.07.01 |
현재 폴더를 Github에 Commit & Push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