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 code
![14. 테스트 주도 개발 적용](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RUPUW%2FbtrH091VWEg%2FRjFpH0cu8caYjxuMUIQRCk%2Fimg.png)
14. 테스트 주도 개발 적용
테스트 주도 개발 (TDD)는 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이다. TDD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따로 다룰 예정이다. ● 테스트 주도 개발 준비 테스트 하기에 앞서 blog 폴더의 test.py 파일을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어 본다. 2와 3은 같지 않다는 것을 출력하며 테스트에 실패했다고 한다. django.test 패키지의 TestCase 모듈 내에 같은지 다른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이 있는 모양이다. 2, 2로 수정하면 다음과 같이 터미널에 출력된다. ● beautifulsoup4 설치 beautifulsoup4는 HTML에 의해 나타나는 페이지의 요소를 쉽게 다룰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pip install beautifulsoup4 입력으로 설치한다. ● ..
![20. miniter API Unit test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G4HPq%2FbtrsY8cUGsk%2FFLS0wc7aff2KJiHdZvQIV1%2Fimg.png)
20. miniter API Unit test 2
● ping 엔드포인트 테스트 코드 작성 def test_ping(api): # 1 resp = api.get('/ping') # 2 assert b'pong' in resp.data # 3 # 1. ping 엔드포인트를 테스트하는 함수, 여기서 api는 위의 코드인 def api 함수의 리턴값인 test clinet를 자동으로 적용시켜준다. # 2. test clinet의 get 메소드를 통해서 가상의 GET 요청을 /ping URL 와 연결되어있는 엔드포인트에 보낸다. # 3. 위의 2를 실행 후 리턴받은 응답의 body에 "pong" 이라는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pong" 앞에 붙어있는 b 는 해당 스트링을 byte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resp.data가 스트링이 아닌 b..